Posted on 2008. 09. 03.


政治(정치)와 종교

 

 

 

 

 

 

 

 

 

 

 

 

 

김  세  현       

발행인/행정학박사

 

 


 

민주국가는 거의 법치주의를 채택한다. 한문의 法(법)자와 治(치)자에는 물수 변을 쓰고 있다. 정치의 治(치)자 역시 물수 변을 쓰는 것을 보면 정치든 법이든 물 흐르듯 해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며 물길을 잘못 막으면 홍수도 나고 농사도 망치게 된다.

 

法이란 것은 政治가 만들어 내며 정치는 시민이 만들어 낸다. 법이란 것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또한 모든 시민에게 공평하게 사용하라고 만든 것이다.

 

 

그러나 이 법이라는 것이 잘못 쓰이면 어마어마한 권력으로 되돌아와 시민을 옥죄이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견디다 못한 시민은 그 법을 만든 권력자에게 저항하게 되고 과욕으로 만든 법에 의해 쓸쓸히 사라져간 정치인들은 역사가 증명한다.

 

종교는 정치와 무관해보이지만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유난히 종교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 정치인들은 표를 먹고 살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종교인들과 마찰을 피하려 하고, 나라의 법에 종교지도자들이 특정정당이나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금지했음에도 종교지도자들이

 

어쨋든 정치와 종교는 분명히 구분해야 한다. 물론 독실한 신자들의 마음속에는 종교가 정치보다 앞서겠지만 적어도 나라 전체를 이끄는 대통령이나 단체장, 그리고 법을 사용해 시민을 구속할 수 있는 자리에 있는 공직자들은 종교문제에 초연해야 한다.

 

최근 불교계에서 이명박정부의 종교편향을 문제 삼아 20만 명이 서울시청 앞에 모여 시국집회를 가졌다. 표면적으로는 이명박대통령의 서울시장시절의 발언이나 어청수경찰청장의 교회 포스터 등장 등을 문제 삼았다고 하지만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는 나라에서 그만한 일로(?) 수십만 명이 거리에 모인 것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경찰이 불교계 최고어른인 조계종 총무원장의 차를 검문검색한 不敬罪(불경죄)에 있어 보인다. 경찰은 법을 집행하는 기관이고 법은 만민에 평등하니까 비록 조계종 총무원장의 차일지라도 법대로 검문검색했다고 한다면 사실 누구도 할 말은 없다.

 

 

그러나 法이전에 지켜야 할 도리가 있다. 적어도 수백 년을 흘러온 역사속의 종교, 이천만 명의 신도(불교계 주장)를 가진 불교계 어른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는 갖춰야 했음에도 광우병 관련 시위주동자를 잡아야 한다는 조급함에 차 트렁크 까지 열어보게 했으니 아무리 큰스님일지라도 화가 날 일이고 불교계의 원성을 사기에 충분한 일이다. 물론 경찰수뇌부의 사과가 있었지만 불교계 최고어른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으니 국정의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의 사과없이는 문제해결이 어렵게 됐다.

 

대통령이 미국산쇠고기 문제로 두 번이나 사과했는데 이번일로 또 사과한다면 대통령의 令이 서겠느냐고 주변에서 말리겠지만 그러나 지금은 나라가 너무 어렵다.

 

 

이 어려운 나라에 불교계가 각 지역을 돌며 反이명박을 외치면 나라꼴이 어찌되겠는가? 종교문제는 자존심문제다. 집회가 쉽게 끝날 수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정치의 최고지도자가 아랫사람의 不敬에 대해 종교지도자에게 머리를 숙인다고 해서 대통령의 권위가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드물다.

 

 

아무튼 이번 갈등이 쉽게 풀리지 않을 기미가 보이는 어려운 때 기독교 교계지도자들이 나서서 대통령과 불교계의 갈등봉합에 노력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다.

 

 

종교의 첫째 덕목이 사랑과 용서라고 한다면, 조그만 나라에서 영호남 지역갈등 심화와 가진 자와 없는 자의 갈등을 치유할 책임이 종교계에도 있다면, 나라가 어려운 때 진정으로 교회와 대통령 그리고 국민을 생각한다면 한 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