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1. 06. 09.


일반의약품 쉽게 구해야 한다

 

 

 

 

 

 

전 윤 종 기자

 

 

예전에 잠깐 해외에 체류한 적이 있었다.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전혀 다른 문화권에서 생활하면서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과 얘기해보며 조금이나마 그들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문화의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었던 시기였는데 당시 여러 가지 추억들과 더불어 특별히 기억이 나는 추억이 하나 더 있다. 감기에 걸려서 힘들어 할 때 지인이 약을 구해줬는데 이 후 몸 상태가 호전되어 약의 구입처를 물어보니 약국이 아니라 동네의 큰 수퍼마켓에서 구매했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약은 약국에서만 살 수 있다는 나의 고정관념이 쉽게 깨진 경험이었다. 현재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소화제나 감기약 같은 상비약조차 때로는 쉽게 구입하지 못한다. 정부는 일반의약품의 대형 수퍼마켓판매의 허용을 검토한 후 이를 실현 시키려 했지만 결국 이 법안은 이 후 정부가 약사회측에서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약국의 야간 휴일 영업을 늘리겠다는 제안을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무산되었다.
이 문제는 대통령까지 언급할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되어 온 문제였고 의료계와 시민단체, 그리고 기획재정부가 찬성을 약사회와 보건복지부가 반대를 하며 팽팽히 맞서왔었고 국내 한 포털사이트에서 의견을 문의했을때 80% 가까이가 찬성쪽으로 의견을 냈던 쟁점이었다.
하지만 약사회는 수퍼마켓에서 일반의약품을 판매 하게 될 시 일반 약국의 판매가보다 더 비싸질 수도 있으며 약에 대한 전문 지식의 부족에서 오는 약품 안전성에 불안과 약의 오남용이 쉽게 생길 수 있다는 등의 이유와 함께 생존권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를 반대해 왔고 결국 그들의 뜻을 관철 시킬 수 있었다.
약사회는 앞으로 전국적으로 영업중인 2만여개의 약국 중에서 국민의 편의를 위해 영업시간을 자정까지로 하는 당번 약국을 지정하기로 했고 평일에는 4,000개의 약국에서, 휴일에는 5,000개의 약국에서 이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거기에 저소득층인 가정에서부터 상비약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을 보급하여 국민의 건강 도우미 역할에 최대의 노력을 기하겠다고 뜻을 내비췄다.
그러나 이러한 법안이 언급된 이유를 다시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약사회는 이미 작년 7월에 50여개 약국을 지정해서 새벽2시까지 영업을 하게하는 심야응급약국제를 진행해서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언급했지만 지난 4월에 경실련에서 조사한 결과에서 그 중에서 20%가까운 수의 약국이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밝혀진 전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력 때문에 과연 이번에는 정말 제대로 약속을 이행할까? 라는 의심의 눈초리를 받는 상황은 그들 스스로가 초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약사회는 전국에 있는 227개의 분회로부터 심야당번제도를 이행하겠다는 서약을 받았다고 말하지만 이를 준수하지 않는 약국에 대해서는 어떠한 벌칙조항도 없는 상황이다.
지난 90년대초부터 이미 국민들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없는 일반의약품 가운데 안전성이 검증된 가정상비약은 편의점이나 수퍼마켓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왔지만 약사회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 성사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었다.
물론 국민의 건강 편의도모만큼 개인의 생존권 역시 중요한 문제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결국 약의 구입처가 아니라 구입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그들이 약속이 꼭 지켜져야 한다고 본다. 그렇지 않아도 힘들게 생활을 하는 우리나라 국민에게 밤에도 마음 편히 아플 수 있는 권리정도는 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