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3. 01. 29.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급하다 

 


 
 최근 서울 자치구와 민간 업체가 음식 쓰레기 처리비용 인상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이 가운데 음식 쓰레기 폐수가 민간 업체들의 임시 저장탱크에 고스란히 쌓이고 있어, 탱크 용량이 다 차는 2월 중순 쯤 2차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3년 런던협약에 가입, 올해부터 음식 쓰레기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됐다. 이에 따라 음폐수 발생량의 70.7%를 바다에 투기하던 민간 업체들이 음폐수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작년 전국에서 해양에 투기한 음폐수는 하루 평균 약 3800여 톤에 이른다.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음식 쓰레기를 처리하는 민간 업체 75곳 중 40여 곳은 음폐수를 속수무책으로 임시 저장 탱크에 쌓아 놓고 있으며 나머지 민간 업체는 종전에 바다에 버리던 음폐수를 퇴비화 처리하거나 폐수 처리 위탁 업체에 맡기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이를 전량 육상처리로 전환해야 하다 보니 비용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음식물 쓰레기의 해양 투기 금지로 이와같은 쓰레기 대란이 올 것은 뻔히 예상된 일이었으나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아무런 대책마련을 내놓지 못하고 지켜보기만 하고 있다. 당초 서울시는 은평, 성동, 강서, 강동구에 음폐수 처리시설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을 지을 계획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이를 반길리 없는 주민들의 님비현상으로 계속 미뤄지기만 할 뿐 아무런 진행이 없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간업체가 계약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및 음폐수를 처리하기로 한 만큼 그들이 스스로 알아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며 책임을 회피했지만, 사실상 상당량의 음폐수를 처리할 능력이 되는 민간 업체가 얼마나 있을까 의문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해결도 시급하지만, 개개인의 실천 또한 문제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매년 우리나라 전체 음식물의 약 1/7 가량이 버려지고 있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8조원이라 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발생을 막기 위해 지난 1일부터 도입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언제부턴가 많은 사람들은 먹다 남은 음식을 너무 쉽게 버리며 살아가고 있다. 자원낭비를 막기 위해서는 애초에 재료를 구입할 때도 필요한 만큼만 사고, 음식을 차릴 때 도 먹을 만큼만, 남은 음식 또한 무조건 버리기 보다는 보관을 하는 등 음식을 아낄 줄 아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개인의 조그마한 습관 또한 중요하다.
 이렇게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정착되 전국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20% 줄일 경우 1600억 원 이상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정부와 지자체의 해결과 더불어 이러한 개개인의 작은 실천이 하나 하나 모인다면 보다 더 쾌적하고 살기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