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3. 04. 09.


인터넷 강국자처하지만 사이버 보안은 구멍 투성이

 

 

 인터넷 강국이라고 불려온 대한민국. 그동안 최고 수준의 인터넷 속도를 자랑해왔지만, 사이버 보안에는 구멍이 많은 듯 하다. 마치 인터넷 강국이라는 그 이름에 먹칠이라도 하듯 얼마전 또 한번 사이버 보안의 문제점을 들추는 대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지난 3월20일 대한민국의 주요 언론과 기업의 전산망이 마비되고 다수의 컴퓨터가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등 말 그대로 전산망에 대란이 오는 사태가 발생했다. 주요 방송사까지 공격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고, 방송사 등 국가 주요 시설에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 졌기에 그 피해는 더 클 수 밖에  없었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우리나라 사이버 보안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다시한번 대두되었고 정부 여당을 중심으로 국가사이버안전관리법을 제정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2009년 디도스 대란 직후, 같은 법의 제정이 추진됐지만 국가정보원의 ‘빅 브라더’ 논란으로 인해 실패했다. 그 후 2011년 농협 전산망 마비와 2012년 중앙일보 해킹 등 잊을만 하면 한번 씩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 공격이 계속되며 한국 사이버 보안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만천하에 드러냈다. 심지어 이번 사건의 발생으로 인해 사이버 위기에 대응하는 법의 제정이 또다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국방 뿐 아니라 경제, 사회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 동시다발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이 사이버공격 앞에 우리는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 지금처럼 사이버 안보에 대한 문제를 안이하게 생각하고 그냥 넘어가 또 한번 무방비 상태에 노출된다면 다음번엔 또 언제 어떻게 사이버 공격을 당할지 모르는 일이다. 지속적으로 보안의 취약성이 드러났는데도 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는 것도 참 의문스러운 점이다.

 인터넷은 강국이라고 하나 국제 사이버전 대응력에서는 명함조차 낼 수 없는 것이 우리나라 사이버 보안의 현실이다.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강국을 외치지만 정작 기본이 되어야 하는 보안 능력은 초보 수준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이버 위기에 대한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대책 마련이 그 무엇보다 시급한 시점이다.
얼마 전 미래창조과학부 윤종룩 제2차관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감기에 걸렸다고 바이러스만 탓 할 일이 아닙니다. 감기약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산업을 발전시키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물론 이번 사건 또한 누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한 일인지 조사하는 것 또한 중요하겠지만,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위기를 방어하기 위한 대책마련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앞으로는 이렇게 쉬운 타깃이 되지 않도록 사이버 보안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