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3. 09. 04.


폐가전제품 무료 수거 제도를 아시나요?

 

 

김가영 기자

 

 정부가 가정에서 버리는 대형 가전제품을 직접 방문해 무료로 수거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몇몇 자치단체에서는 이 제도가 잘 도입되어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홍보가 적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거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시행을 거부하고 있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제란 지난해 환경부에서 도입한 제도로, 각 가정에서 고장난 냉장고나 에어컨, TV 등을 버려야 할 때 전화나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수거업체 직원이 찾아가 무료로 이를 처리해주는 제도다. 납 수은 등 유해물질과 온실가스인 냉매가 포함된 가전제품이 무단으로 버려져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취지다. 환경부는 이 제도로 올해 온실가스를 7900 t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이 제도를 발의한 새누리당 최봉홍 의원 또한 이 제도의 도입으로 연간 200억원에 달하는 가전제품 배출 수수료를 아낄 수 있고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 환경적인 측면 뿐 아니라, 시민들의 편의성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보통 적게는 3000원 많으면 15000원의 폐기 비용을 내는 것은 물론, 무거운 제품을 직접 집 밖에까지 내놓아야 했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유용하고 실용적인 제도의 도입으로 서울시는 올 4~6월 월 평균 7170대로 예상보다 높은 이용실적을 기록했고 대구 역시 예상보다 많은2319대를 기록했다. 7월부터 시작한 부산의 경우에는 1~15일 동안 3246건이 접수되 예상량의 3배 가까운 실적을 올렸다.
 하지만 일부 광역단체에서는 홍보가 부족해 정착이 늦어지고 있다고 한다. 경기도에서는 올 4~6월 월평균 1149대가 접수돼 예상치에 크게 못 미쳤고, 대전 또한 936대의 예상과는 달리 695대로 74%에 그쳤다. 지자체가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반상회, 지방언론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천과 울산에서는 아예 사업 도입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고 한다. 기존 폐기물 수거업체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핑계에 불과할 뿐, 환경적 측면에서나 시민의 편의성 측면에서나 도입을 미룰 이유는 전혀 없다고 생각된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이 사업을 전국 읍면 지역까지 확대할 계획에 있다고 한다. 이렇게 좋은 제도일수록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각 지자체에서 적극적인 홍보와 참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방문수거제를 이용하려면 인터넷 홈페이지(www.edtd.co.kr)나 콜센터(1599-0903), 카카오톡(아이디 weec)에 신청하면 된다. 수거 대상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대형TV 등 길이나 높이가 1m 이상의 가전제품이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