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의 무임승차 문제
김가영 기자
버스회사들이 양심불량 무임승차 승객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2009년 기초노령연금을 확대하면서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월 1만원~1만7000원 가량 지급해오던 교통수당을 없앤 바 있다. 노인 교통수당이 폐지되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버스를 무임승차하는 노인들이 많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지하철역과 가까운 버스 정류소에 무임승차하는 노인들이 많이 몰리곤 한다.
버스 요금을 내야 한다고 말을 해 보아도, 지하철은 공짠데 왜 버스는 돈을 받냐며 도리어 화를 내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하니 버스 기사로서는 당혹스럽기 그지없을 수 밖에 없다. 연세가 지긋하신 분들의 호통에 버스 기사들도 결국 요금 받기를 포기하곤 하는 것이다. 뒷문으로 타며 카드결제를 하지 않거나, 고의로 고장이 난 카드, 혹은 잔고가 부족한 카드를 들고 버스앞문을 막고 서있는 등 수법은 다양하다.
이렇게 버스요금을 내지 않아 발생하는 버스회사의 손실은 결국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충당될 수 밖에 없다고 한다. 버스와 달리 현재지하철은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상대로 무임승차를 하도록 하고 있지만, 서울지하철 또한 적자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인 무임승차 손실액 보전을 촉구하기 위해 요금인상의 카드를 꺼내 들 수 밖에 없는 판국이다..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며 2030년 즈음이면 인구 4명 중 한 명이 65세 이상, 2050년에는 3명 중 한 명 꼴이 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되니 서울지하철로서는 이에 대비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에 따르면 지금도 2012년 서울지하철 무임승차 손실이 2,600억원을 넘어 최근 5년간 가장 많기에 요금 인상은 불가피 할 뿐이라는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무임승차 나이를 상향조정 할 수 밖에 없는 셈이다. 이로 인해노인단체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지만, 초 고령사회로 접어드는 사회인 만큼 적절한 대비가 필요하다. 물론 기초 수급자 노인 등 정부의 보조가 필요한 사람에게 교통수당을 따로 제공해주거나 무임승차권을 발행해준다는 등의보조 수단이 동반되어야 하겠지만, 노인이라는 이유로 무작정의 무임승차를 할 수 있는 날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누구나 나이를먹는 것은 당연하지만‘어른’이 되기란 참 어려운 것 같다. 나이를 무기로 생각하고 무작정 공경을 바랄 것이 아니라, 그들의 지혜와 경험으로 젊은 청장년층의 모범이 될 수 있는 행동을 보여야 진정한 공경의 방향을 제시하지 않을까 싶다. 노인을 공경하는 것은 마땅하나, 그 마음을 그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라 착각하지 않고 그에 걸맞은 행동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타는 ‘대중의’교통인 만큼, 모든 시민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서라도 나이를 불구하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