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5. 02. 05.


시민과 노동단체가 함께 지역문제 해결한다
공적연금강화 성북지역 범시민운동본부 출범

 

성북구지역 12개 단체가 지난 달 22일 오전 12시 성북구청 정문에서 공적연금강화를 위한 성북지역 범시민운동본부를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현재 소득 상위 10%가 전체 소득의 45%를 점유하고 있고, GDP대비 공공사회복지 지출의 비중이 9%에 불과한 상황이라는 것. 이는 OECD 평균 2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며 그런데도 정부와 새누리당이 국민의 노후와 사회복지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한 부자증세를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 노동계와 시민사회의 지적이다.

이들 단체는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우리 사회는 돈이 없어 국민의 노후와 복지를 향상시키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부자감세를 위해 되려 필요한 복지를 축소 삭감시키는 형국”이라며 “국가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강력한 견제와 공적연금 강화를 위해 힘을 모아야한다”고 호소했다. 또한 “한국사회 미래를 위해 국민의 삶을 지키지 못하는 정부는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운동본부 소속 단체들은 노후를 보장하지 않으려는 정부의 복지축소 대책을 강력 비판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본부 성북구지부 이동열지부장은 “국가가 국민행복을 1순위로 정책을 입안해야함에도 공무원 노후생존을 볼모로 국민의 노후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동열 지부장은 “공무원연금을 개악하면 그다음 차례는 국민연금 일 수밖에 없다”며 공무원연금 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동열지부장은 “지역사회 활동을 통하여 시민단체와 지역노조가 함께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해결하는 중심체가 없어 성북구 공무원노조가 지역활동의 문제해결을 논의하는 자리를 만들기 위하여 성북.강북 시민단체 및 노동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성북.강북 사람연대 구성하여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한 시민이 함게 참여하는 공적연금강화 성북지역 범시민운동본부를 출범했다”고 말했다.

범시민운동본부 성북구지역 대표를 맡은 이동열지부장은 “운동본부는 앞으로 공적연금 강화가 왜 필요하고 함께 해야하는지 적극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열지부장은 “범시민적 운동을 통해 대한민국 모두의 노후가 행복해질 수 있는 활동을 펼쳐가겠다”고 다짐했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