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7. 11. 22.


서울시의회 이승로 의원
국민대입구역에 국민대 없어

우이신설선 경전철을 타고 국민대입구역에 내려서 국민대까지 걸어가면 30~40분, 버스를 타도 15분 이상은 걸린다.
국민대입구역이라고 하기는 좀 억지스러운 거 아닌가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성북구 내 소재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해당 대학명이 표기되어 있는 역과 떨어져 있는 거리를 조사해 보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우이신설선 경전철 국민대입구역에서 국민대 정문까지는 2.1㎞로 버스를 타고 가도 먼 거리로 나타났다. 국민대입구역이라는 역명이 무색한 것이다. 또한 서경대역에서 서경대까지 거리는 680m로 도보로 이동 시 10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하철 4호선에는 한성대입구역과 성신여대입구역이 있는데, 한성대입구역에서 한성대 정문까지 980m 거리에 있고, 도보로 15분이 걸린다. 성신여대입구역은 성신여대에서 550m, 도보 8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나마 6호선 고려대역은 역명에 걸맞게 대학교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지역의 고유 명칭이나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공공시설을 역명으로 사용하는데, 역 이름이 실제와 동떨어진 사례는 역 주변에 대학이 있을 때 더욱 두드러진다. 실제로 외지에서 해당 대학을 찾아 온 승객은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서울특별시의회 이승로 의원(더불어민주당, 성북구4)은 “대학명을 사용하는 지하철역과 해당 학교가 대부분 상당 거리 떨어져 있어 실제로 승객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며, “과거에는 지역을 대표할 만한 기관이나 명칭이 대학밖에 없어 불가피하게 역명을 정했겠지만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고 지적했다.
또한 “홍보 효과를 노리는 학교 측에서 기존 역사 이름에 교명 명기를 요구하다보니 빚어지는 현상이기도 하다.”며, “주변의 대표적인 기관을 병기하는 제도를 운영해 서로 ‘win-win’ 할 수도 있겠지만 이것으로 인해 승객에게 혼란과 불편을 끼쳐서는 절대 안 될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특성을 살린다는 이유로 역사 위치와 크게 상관없는 곳의 이름을 쓰면 승객의 혼란만 가중시킨다.”며 “지역 주민과 승객의 편의를 우선한다면 실제 역사 주변의 기관이나 지역의 고유 명칭으로 역명 정하는 게 가장 합리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