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19. 06. 12.
34년 만에 주민들의 품으로 돌아온 창동역
주민-거리가게-도봉구가 함께 써 내려간 지난 4년의 기록
(시사프리신문=유영일 기자) 어둑하고 지저분했던 창동역 고가 하부가 알록달록 도봉산의 나무와 바위 모양을 모티브로 한 조형물과 LED조명이 설치되어 주민들이 걷고 싶은 문화 가득한 거리로 탄생했다.
도봉구(구청장 이동진)가 1985년부터 창동역 주변에 무질서하게 난립하며 보행 불편, 도시 미관 훼손, 취객의 노상방뇨, 쓰레기 무단투기 등으로 지역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창동역 불법거리가게(노점상) 정비(창동역 주변 환경개선) 사업’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하고 깨끗하고 밝은 창동역을 주민의 품으로 돌려줬다.
특히, 이번 ‘창동역 주변 환경개선 사업’은 관의 일방적인 노점상 정비가 아닌, 주민-상인-구청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지속적인 타협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어둑하고 지저분했던 창동역 서측 일대는 고가철로 하부를 보행자 중심거리로 조성했다. 도봉산의 나무와 바위 모양을 본뜬 조형물과 어두운 밤 거리를 밝힐 LED조명도 설치했다.
도봉구는 2016년 5월 창동역 거리가게 정비를 위한 사업에 착수해 같은 해 6월 창동역 거리가게 개선추진단(T/F)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사업진행을 위해 ‘창동역 거리가게 개선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창동역 주변 환경개선 사업’은 ‘보행자 우선의 도로 및 걷기 편한 거리조성’을 핵심 계획으로 보도블럭 확장, 도로 재포장, 거리가게 재배치를 통한 환경정비, 문화공간 조성 등으로 주민들의 요구와 생계형 노점이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을 고려했다.
구는 사업진행에 앞서 2016년 9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창동역 거리가게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해 거리가게의 효율적인 관리방안·물리적 개선방안·창동역 주변 공간 디자인 등을 구상했다.
2016년 11월 주민·상인·거리가게 이용객·거리가게 운영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민 81.9%가 거리가게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확인하고, 2017년 2월 인근 아파트(창동대림아파트) 주민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2017년 7월에는 사업 전반에 대한 협의·중재·자문 역할을 담당할 ‘창동역 거리가게 상생협의회’를 구성하고, 같은 해 8월 도봉구-거리가게 대표-시민대표 간의 ‘창동역 거리가게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본격적인 정비를 위해 생계형 노점과 기업형 노점의 구분을 위해 영업주 재산 실태조사를 실시해 재산기준(부부합산 총자산 3억 미만) 영업주에 대한 재배치 계획을 수립했다. 실태조사 결과 기존 55개 노점 중 29개만 주차장 및 마트 주변 등에 재배치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인근 거주 주민의 거리가게 재배치 반대 시위가 발생하고 시위가 연일 이어지면서, 생계를 위협받은 거리가게 연합회원과의 팽팽한 대치로 각종 고소, 고발, 몸싸움 및 언쟁으로 갈등이 심화되는 등 사업 추진과정에 많은 진통이 있었다.
구는 주민과 거리가게 연합회원 간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수시로 양측 대표자 면담을 진행하고, ▲타 구 사례, 서울시 운영기준, 노점 실태 조사를 통한 객관적 거리가게 재배치 기준 마련 ▲전체 55개 거리가게 중 29개 노점만 재배치(대체부지 활용) ▲도로 점용료 부과 및 세부운영기준 마련 ▲안전·위생·운영자 교육을 통한 모범 거리가게 관리 등으로 주민-상인-구청이 함께 상생의 대타협을 이뤄냈다.
창동역 서측 역사하부 및 고가하부에 있던 거리가게는 완전 배제되거나 이전 배치되었으며, 대체부지로 이전된 거리가게는 지난해 9월부터 순차적으로 영업을 개시하면서 사업이 조금씩 안정을 되찾은 상태이다.
구는 지난 3월부터 노점 허가조건 준수여부, 운영현황 점검을 위해 상시 감독인원을 창동역 일대에 배치해 꾸준히 점검 중이며, 노점상 영업주에 대한 안전·위생·운영자 준수 등의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동진 구청장은 “창동역 서측 환경개선 사업은 도봉구의 노력으로만 이루어낸 것이 아닌 주민과 거리가게연합회원의 이해와 노력이 함께 빚어낸 의미 있는 성과라고 생각한다”며 “도봉구의 거리가게가 주민과 상생하는 상징적인 모델로 자리잡아 타 지역에도 모범적인 사례가 될 수 있도록 꾸준히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