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20. 11. 04.


서울시의회 채유미 의원

‘코로나 위기시대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포럼’ 성황리 개최




서울시의회 채유미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5)은 10월 30일(금)에 서울시의회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에서‘코로나 위기시대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1부 개회식에는 박희성(서울형혁신교육지구 지역사회네트워크) 대표가 사회를 맡았고 채유미 의원의 개회사와 이현찬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의 영상 축사와 기념촬영이 진행 되었다.


2부에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채유미 의원을 비롯한 5명의 발제자와 2명의 토론자가 참석하여 코로나 위기시대의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발전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다.


먼저 발제를 한 채유미 의원은 코로나 시기, 서울형혁신교육지구를 통한 마을의 역할을 설명하며,“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역할이 마을과 학교가 함께 아이들이 잘 자라도록 지원하는데 있기에 지금과 같은 코로나 위기 시대에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생각한다”고 발표했다.


이어서 두 번째 발제자인 김동현(서울우이초등학교) 교사는 코로나 시기 아이들의 사례를 설명하며,“돌봄이라는 주제로 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더 보완하고 만들어 가야할지 생각해보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세 번째 발제자인 이영미(서울형혁신교육지구 학부모네트워크) 대표는 코로나시기 학부모가 제안하는 혁신교육지구를 설명하며,“돌봄의 책임에 대한 대안과 온라인 학습으로 인한 학습 격차를 어떻게 해결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네 번째 발제자인 최혜영(도봉혁신교육지원센터) 센터장은 언택트 시대의 마을, 다시 마을교육공동체를 생각하다는 주제로 마을방과후학교의 추진배경과 방과후학교 안착 및 확산을 위한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다섯 번째 발제자인 유현경(구로온마을교육지원센터) 센터장은 구로혁신교육지구 사례 중심 코로나시기 마을학교의 역할을 주제로 코로나 대응을 위한 민관학의 사업 협의와 코로나 이후 마을학교의 방향성에 대해 발표했다.


발제 후 진행된 토론에서는 신은옥(노원혁신교육지구 실무협의회) 민간대표가 코로나19로 직면한 마을교육공동체의 현황과 방향에 대해 얘기했고, 이미경(은평마을방과후지원센터) 센터장이 코로나 일상의 마을교육의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채유미 의원은 토론회를 마무리하며,“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부위원장으로서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발전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할 것을 다짐하며, 서울시와 교육청, 자치구가 힘을 합쳐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