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22. 01. 13.


장위13구역 ‘공공재개발’추진위원회 발족 준비 중
민간 재개발 법적 조건 난관, 2월까지 ‘공공재개발’ 추진 주민 동의서 징구 나서



(시사프리신문=김영국 기자)       장위13구역 주민 20여 명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공공재개발’을 추진목표로 추진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키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추진준비위원회 소속 주민들은 “신속한 사업추진,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오는 2월28일까지 주민동의서를 징구해 서울시에 접수할 예정이다.


추진준비위원회에서는 오는 2월 28일까지 30% 이상의 주민 동의서를 받아 성북구청에 접수하고, 성북구청에서는 사업 타당성을 따져 서울시에 접수하면 서울시와 국토교통부(LH, SH)에서 사업 추진을 검토하고 합당할 경우 ‘공공재개발’ 형식으로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현재 추진준비위원회 대표 격인 양상인 씨는 “우리 지역은 주거 환경이 열악한 곳이다. 그러나 재개발이 된다면 교통과 접근성, 교육환경 등에서 다른 구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입지를 가지고 있다. 접수 조건만 보면 주민동의가 30%이상이지만 많은 주민동의를 받아야 선정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주민동의서 징구 과정은 힘들겠지만 13구역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추진준비위에 참여 중인 H씨는 “장위동에 30년 동안 살고 있다. 뉴타운으로 지정되고, 해제되기까지 모든 과정을 잘 알고 있다. 추진위와 비대위의 다툼이 결국 사업을 좌초시키고 사업의 추진 동력이 떨어지는 이유가 되고 있다. 여기 모이신 분들은 순수한 마음으로 자발적인 참여로 모인 분들이다. 많은 개발이익보다 지역주민들과 원주민이 이사가지 않고 많이 거주할 수 있도록 공공재개발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공재개발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에서는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난 20년 5월 6일과 8월 4일 발표를 보면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강화방안’을 통해 장기 정체된 정비구역, 새롭게 구역지정을 검토 중인 구역, 해제된 구역 등에 대해 공공이 참여해 주거환경 개선 및 주택공급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재개발 후보지를 공모하는 사업이다.


장위13구역은 지난해 10월부터 ‘오세훈 시장표 재개발‘ 신속통합기획에 서류를 접수하기 위해 연번동의서를 징구해 성북구에 제출했으나 서류 및 조건 미비(건물노후도와 기존 추진하고 있던 가로정비 사업과의 충돌)로 인해 성북구에서는 서울시에 접수 자체를 하지 않은 구역이다.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