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22. 02. 03.
창1동주민센터, 창1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창동종합사회복지관
창1동 지역사회와 마을돌봄체계구축을 위한 10자간 민관협력 업무협약 체결
지난 1월 25일(화), 창1동주민센터(동장 최승렬), 창1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노석호), 창동종합사회복지관(관장 최영대)은 창1동 지역사회의 민간 전문기관 7개소와 10자간 민관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창1동 내 주민의 복지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마을돌봄체계로서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기관은 강북다인치과의원(공동원장 양현봉·최헌주), 남상민내과의원(원장 남상민), 정금교회(담임목사 송성언), 사계절카페(대표 김미경), 세븐일레븐길가온점(대표 이인자), GUGU HAIR(대표 김은숙), 엘마트 창동점(대표 김윤숙, 김종덕) 총 7개소가 함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지역 내 마을돌봄체계로서의 사회안전망을 보다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창1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노석호 위원장은 “지역 내 고독사와 이웃의 고립 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에서, 창1동에도 마을돌봄체계가 꼭 생겼으면 좋겠다고 늘 생각해 왔는데, 이번 협약식을 통해 창1동이 좀 더 살기 좋고 든든한 마을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가 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창1동 주민센터 최승렬 동장은 “창1동 주민이 잘 사는 마을이 되도록 하는 것이 동장으로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협약이 형식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창1동의 고독사 방지와 주민의 복지증진에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체계로 잘 작동되었으면 좋겠다. 또한 더 다양한 체계가 함께할 수 있도록 확장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평소 창1동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애써온 강북다인치과의원 양현봉·최헌주 공동원장과 남상민내과의원 남상민 원장은 “지역 내에서 오랫동안 진료해 왔는데, 이렇게 지역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주어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GUGU HAIR 김은숙 대표, 사계절카페 김미경 대표는 “협력기관으로서 창1동 마을돌봄체계가 잘 운영되도록 열심히 해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엘마트 창동점 김윤숙·김종덕 대표는 오랫동안 창1동 주민센터를 통해 쌀과 생필품 등을 나눠온 배테랑 후원자로, “창1동마을돌봄체계가 잘 운영되도록 열심히 해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번 민관협력 협약이 이루지는데 있어 창1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노석호위원장과 정금교회 송성언 담임목사의 숨은 활약이 있었다.
노석호 위원장은 지역 내에 공신력이 있고 열정적으로 함께 할 수 있는 협력기관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추천함으로써 창1동만의 민관협력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고, 송성언 담임목사는 창1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부위원장으로 노석호위원장과 늘 협력하면서 창1동의 마을돌봄체계를 형성하는데 힘을 보태는 동시에, 교회 운영시에도 늘 이웃을 살피고 나눔에 적극 참여하면서 창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반을 조성하는데 큰 힘이 되었다.
민관협력기반의 창1동마을돌봄체계는 1차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운영되며, 향후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숨은 이웃이 고립되지 않고 일상을 사람답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바로 옆에서 함께 관심을 갖고 살필 수 있는 ‘이웃’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힌 이웃이 많아질수록 창1동의 사회안전망이 촘촘하게 연결, 확장되고, 이를 통해 창1동 내 숨은이웃의 고립 및 고독사 예방 효과까지 높아진다. 이번 협약식은 창1동 내 촘촘한 안전망 형성의 기반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행사였다.
창동종합사회복지관 최영대 관장은 “이번 기회를 통해 창1동의 마을돌봄네트워크가 잘 운영되도록 노력하겠다. 이를 통해 창1동의 고독사를 예방하고 창1동 주민들이 행복하게 일상을 영위할 수 있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전했다.
창동종합사회복지관은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사업에 2021년부터 참여하여 동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하기 위해 조직 개편 및 민관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2년도에는 동별 마을돌봄체계가 형성되고 정착,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하고 매뉴얼을 체계화함으로써, 도봉구 내 숨은 이웃 및 동별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맞춤형 복지실천 모델을 만들어 실천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