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22. 02. 04.
장위1동 장위 13구역 공공재개발 공모 준비 \'착착\'
2월 접수 마감 앞두고 동의서 징구위해 추진위 출범
주민동의율 50% 이상 징구 예상

(시사프리신문=김영국 기자)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 마감이 약 1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11월 재개발이 해제되었던 장위8·9구역이 공공재개발 지역으로 선정되면서 장위13구역도 공공재개발에 대한 희망의 불씨가 살아났다.
공공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민동의서 10% 이상 징구가 필수요건이다. 하지만 장위13구역은 주민들의 재개발 참여 욕구로 인해 이미 50% 이상 찬성율을 보이고 있다. ‘장위13구역공공재개발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출범하면서 장위13구역도 사업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그러나 2개의 추진위로 나뉘어 주민동의서를 징구하고 있어 두 추진위가 통합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다.
지난 1월 20일 주민들 의견에 따르면 장위13구역도 “지난번에는 민간 재개발을 위해 추진위가 움직였다면 이번에는 공공재개발로 선회해 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주민 동의서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공공재개발 공모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해당 구역 주민(토지 등 소유자) 동의율 10%를 넘겨야 하기 때문이다. 13구역 추진위는 설 연휴기간을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동의서 징구해 약 5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공재개발은 서울시와 국토교통부에서는 부동산 가격 안정과 주택 공급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지난 20년 5월 6일과 8월 4일자 발표를 보면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강화 방안’을 통해 장기 정체된 정비구역, 새롭게 구역지정을 검토 중인 구역, 해제된 구역 등에 대해 공공이 참여해 주거환경 개선 및 주택공급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재개발 후보지를 공모하는 사업이다.
장위13구역은 지난해 10월부터 민간재개발을 통으로 개발하려고 추진하려다 서류 미비로 인해 공공재개발로 선회한 곳이다. 지난 민간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오세훈 시장표 재개발’ 신속통합기획에 서류를 접수하기 위해 연번동의서를 징구해 성북구에 제출했으나 서류 및 조건 미비(건물노후도와 기존 추진하고 있던 가로정비 사업과의 충돌)로 인해 성북구에서는 서울시에 접수 자체를 하지 않은 구역이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수도권 주택 공급대책을 발표하고 미니 신도시급 복합개발을 추진한 덕분에 일대 부동산이 들썩였다.
특히 장위8·9구역이 공공재개발로 사업이 순항하면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장위13구역이 공공재개발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면 장위동 지역 일대가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장위13구역 주민들도 사업 속도를 빠르게 낼 수 있는 공공재개발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구역지정 절차, 조합설립 등 기존 정비 사업은 행정절차가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과 달리 공공재개발은 인·허가절차가 간소하다. 이 외에 용적률 상향, 분양가 상한제 적용 제외 등 각종 인센티브도 많다보니 공공재개발 참여를 바라는 지역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