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on 2025. 11. 27.
성북구의회 경수현 의원 5분 자유발언
청년이 머무는 성북 위해 정신건강·주거·참여권 강화해야
(시사프리신문=김영국 기자) 성북구의회 경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지난 11월 20일 열린 제315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청년 정신건강 지원 강화, 상생형 청년주거 모델 구축, 청년 참여권 확대 등 세 가지 핵심 정책을 제안했다.
경 의원은 최근 진행된 「2025 성북구 청년정책 및 청년친화도시 기본계획 연구용역」에서 정신건강·주거·참여권 강화의 필요성이 확인됐음에도, 연구 결과가 연말에 제출되는 구조적 문제로 2026년 예산에 반영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년정책은 변화 속도가 빠른데 예산·정책과의 연계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째로 경 의원은 ‘성북형 정신건강 종합지원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조사에 따르면 성북 청년의 40% 이상이 일상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17%는 최근 1년간 번 아웃을 겪었다.
그러나 전담 상담창구 부족, 평일 낮 상담 중심, 비용 부담 등으로 실질적 접근성이 낮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며 ▲상담 시간 확대 ▲청년 전담 상담창구 신설 ▲위기 청년 대응체계 구축 등을 요청했다.
둘째로 청년–임대업자–구청이 함께 참여하는 ‘성북형 3자 상생주거모델’을 제안했다. 성북 청년의 주거 불만족 이유 1위가 “협소하고 낙후된 주거환경”이라는 조사 결과를 소개하며, 성동구 ‘상생 학사’ 사례처럼 공공의 직접 매입 없이도 ▲시설 개선 컨설팅 ▲안전 점검 지원 ▲임대료 안정 협약 등을 통해 저비용·고효율의 청년 주거정책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셋째로 청년 참여권 강화를 강조했다. 성북 청년의 절반 이상이 “정책 과정에서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만큼, ▲청년정책 상설 공론장 운영 ▲청년지원협의체 기능 강화 ▲모바일 의견 제출 창구 구축 ▲예산·정책 과정의 청년 참여 의무화 등은 별도 예산 없이도 추진 가능한 제도개선이라고 말했다.
경수현 의원은 “청년의 마음과 주거, 목소리를 지키는 정책이 성북의 미래를 결정한다”며 “의원으로서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을 지속적으로 제안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