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지난 30일, 오는 2016년부터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정년을 60세로 연장하는 내용의 일명 ‘정년60세 연장법’을 가결했다. 이로서 한국 사회는 곧 ‘60세 정년 시대’를 맞게 됐다. 정년 60세 규정은 2016년 1월 1일부터 공공기관, 지방공사, 지방공단,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적용되며 이듬해인 2017년 1월 1일부터는 국가 및 지자체, 30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된 뒤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된다. 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세대별 시각은 매우 다른듯 하다. 평균수명이 늘며 이는 고령화에 따른...
최근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한 직장에서 근무하며 벌어지는 사건을 코믹하게 그린 KBS 드라마 ‘직장의 신’이 인기다. 극중 비정규직인 김혜수는 오전 9시~ 오후6시의 업무시간을 철저히 지키고 업무 외 일이 있을 땐 수당을 척척 챙긴다. 반면 같은 사무실에 일하는 비정규직 정유미는 정규직 사원들의 커피, 담배, 복사 등 잔심부름에 시달린다. 밤새 아이디어를 생각해도 정규직 사원들이 항상 가로챈다. 하지만 극중 정주리는 항상 참는다. 언젠가는 정규직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희망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실은 어떨까? 드라마에서 비...
한강 교량에 설치된 ‘SOS 생명의 전화’ 지난1년간 자살을 시도하려 하던 163명의 소중한 생명을 살린 고마운 전화다. 생명의 전화기는 통화로 자살시도자의 마음을 돌리도록 유도하거나 자살시도 광경을 목격한 시민이 신속하게 119에 신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긴급 전화기다. 수화기를 들고 버튼을 누르면 즉시 발신인의 위치가 파악되므로 신속하게 구조에 나설 수 있다. 2011년 한남대교를 시작으로 마포대교, 한강대교, 원효대교, 서강대교 등 전국 자살 다발지역에 생명의 전화기를 설치에 운영중에 있다. 이 고마운 전화기는...
얼마 전 글로벌웹진 뉴스로에서 영국 북아일랜드의 벨파스트의 한인 교환 학생이 스시 도시락 업체에서 사용하던 욱일승천기 로고를 바꾸도록 한 사연을 소개해 이슈가 되고 있다. 뉴스에 따르면 역사를 전공한 이 여학생은 최근 편의점에서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인 욱일승천기의 이름과 상징을 사용한 스시 도시락을 발견했다고 한. 다니는 학교 매점과 이 회사가 계약을 맺어 매점에 ‘라이징 선 스시 입고’라는 안내가 붙었고 한쪽 구석엔 욱일승천기 모양 도시락이 쌓였다. 이런 도시락이 편의점에서 버젓이 팔린다는 사실에 화가나기도 했고,...
서울북부보훈지청장 강성만 ‘다시 태어난 한국 : 위대한 국가’( Korea Reborn : A Grateful Nation ) 정전 6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정부와 민간단체, 미국 국방부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6.25전쟁 기록 화보집 제목...